처음이라 낯선 주택담보대출, 구조부터 천천히 알려드릴게요

주택담보대출 구조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다는 건 대체 어떤 구조일까요? 금리는 어떤 기준으로 정해지는 건지, 내 상황에선 대출이 가능한 건지, 처음 접하면 어렵고 막막하게만 느껴지는 게 바로 ‘주택담보대출’이죠.

오늘은 주택담보대출을 처음 접하는 분들을 위해 

✔ 구조는 어떻게 되고
✔ 어떤 용어들이 등장하고
✔ 금융사에 따라 뭐가 다른지

하나씩 풀어보려 해요.

 

주택담보대출 기본 구조

주택담보대출, 최근에는 줄여서 주담대라고 하죠. 말 그대로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대출’이에요. 은행이나 금융사가 집의 가치를 담보로 삼고, 그 담보가치를 기준으로 일정 금액을 빌려주는 방식이죠.

보통 집값의 40~70% 정도까지 대출이 가능한데, 이때 적용되는 비율이 바로 ‘LTV(담보인정비율)’입니다.

  • 예시: 시세 6억 아파트 → LTV 70% → 최대 4.2억 대출 가능

하지만 단순히 LTV만으로 결정되진 않아요. 요즘은 DSR이라는 규제도 매우 중요해졌거든요.

 

주담대에서 자주 보는 용어들 (쉽게 설명해드려요)

  • LTV (Loan To Value) : 담보로 제공하는 부동산 가치 대비 대출금 비율. 집값이 5억이고, LTV가 70%면 최대 3.5억까지 대출 가능.
  • DTI (Debt To Income) : 연 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 비율. DTI가 60%라면, 연봉 5천만원인 사람은 3천만원까지 대출 원리금을 갚는 수준에서 제한됨.
  • DSR (Debt Service Ratio) : DTI보다 더 강력한 규제로, 전체 원리금 상환액(신용대출, 카드론 등 포함)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 보통 40%를 넘기면 신규 대출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정리하자면, LTV로 대출 한도를 정하고, DSR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구조라고 보면 돼요.

 

금융사별 주담대 구조, 뭐가 다를까요?

금융사별 주택담보대출 구조

구조만 놓고 보면, 은행이 가장 안정적이지만 규제에 막힐 수 있고, P2P나 캐피탈, 보험사는 규제 밖 구조라 거절된 사람들에게는 중요한 대안이 되기도 해요.

 

에잇퍼센트는 어떤 구조일까요?

에잇퍼센트는 P2P 기반의 후순위 주택담보대출 서비스로, 

✅ DSR, DTI 적용 없이
✅ 기존 대출이 있어도 추가 대출이 가능하고
✅ 서류부터 실행까지 모두 비대면으로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요.

특히, 은행에서 ‘안 된다’는 답을 들은 분들에게는 다시 한 번 도전해볼 수 있는 대출 가능성을 제공해요.

 

내 상황과 내 조건으로 가능할까?

✔ 다주택자라서 걱정이신가요?
✔ 이미 대출이 있고, DSR이 초과됐다면요?
✔ 소득이 없거나, 전세금 반환처럼 갑자기 목돈이 필요한 상황인가요?

에잇퍼센트에서는 이런 조건에서도 대출이 가능한 경우가 있어요.

신청 부담 없이, 내 한도와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해보세요! (신용점수에 영향 없이 조회 가능해요)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 25-094호 (25.05.08)